天天看點

韓語小說精讀筆記--82年生的金智英24參考

作者:正大光明的火車嗚~
韓語小說精讀筆記--82年生的金智英24參考

가장 골치 아픈[1] 부업은 문풍지 말기[2]였다. 문이나 창문 틈[3]에 붙이는 스펀지 재질의 좁고 길고 한면에 끈끈이[4]가 발라져 있는 문풍지. 그게 기다란[5] 채[6]로 트럭에 실려 오면, 두 줄씩 소용돌이[7] 모양으로 돌돌돌[8] 말아 작은 비닐봉지에 담는 일이다. 문풍지를 왼손 엄지와 검지 사이에 끼우[9]듯[10] 가볍게 쥐고 오른손으로 모양을 잡으며 마는데 문중지를 당기며 말다 보면 끈끈이를 덮고 있는 종이 스티커에 왼손 엄지와 검지 사이의 살 부분을 쉽게 베였[11]다. 목장갑[12]을 두 개씩 끼고 일해도 어머니의 손에서는 늘 피가 났[13]다. 재료의 부피[14]가 크고, 쓰레기가 많이 나오고, 스펀지와 접착제 냄새 때문에 머리도 아프지만 문풍지 일이 그나마[15] 단가가 높아 그만둘 수가 없었다[16]. 어머니는 점점 더 일을 많이 받았고, 더 오래 했다.

其中最令人頭痛的工作項目就是卷門窗密封條。這是專門用來貼在門窗縫隙間、以泡棉材質制成的細長形貼紙。尚未裁切、包裝的貼紙會由貨車運來,金智英母親的工作是将其裁切,卷成兩組圓形,放進小袋子裡包裝好。然而,實際卷紙時,得先将封條輕放在左手虎口處,用右手卷成圓形,在此過程中虎口很容易被蓋在膠水上的那面紙割傷。盡管已經戴了兩層布手套,母親的手依舊布滿大小傷痕,再加上密封條的尺寸較大,于是垃圾也多,泡棉和膠水的刺鼻氣味更經常難聞到使人頭痛,但這份工作的工資較高,實在令人難以拒絕。随着母親承接的數量越來越多,這份工作也越做越穩定。

아버지가 퇴근한 후에도 문풍지를 말고 있는 날이 많았다. 국민학생[17]인 김지영 씨와 김은영 씨는 엄마 옆에 붙어 앉아[18] 숙제하다 놀다 쉬다[19] 일을 거들[20]었고. 어린 남동생은 스펀지 조각과 포장 비닐을 찢[21]으며 놀았다[22]. 일이 너무 많은 날은 문풍지 더미[23]를 방 한구석에 밀어 놓[24]고 그 옆에서 저녁밥을 먹기도 했다[25]. 어느 날, 야근하고 평소보다 조금 늦게 퇴근한 아버지는 어린 자식들이 아직도 문풍지 더미에서 뒹굴[26]고 있는 모습을 보고 처음으로 어머니에게 싫은 소리[27]를 했다.

“냄새도 많이 나고 먼지도 많이 나는 일을 꼭 애들 있는 데서[28] 해야겠[29]어?"

好幾次父親已經下班回家,母親還在忙着卷密封條。當時還是國小生的金智英與金恩英,就坐在母親身旁,邊玩邊寫作業,偶爾幫幫母親。年幼的弟弟則拿着泡棉塊和包裝塑膠袋邊撕邊玩。工作量實在很大時,母親甚至會把密封條堆放在房間一隅,在好不容易騰出來的地闆上擺桌子、吃晚餐。某天,父親加班到深夜,比平時還晚到家。他看見孩子們都還在玩密封條,終于忍不住第一次對母親抱怨。

“你一定要在孩子旁邊做這些味道難聞、灰塵又多的工作嗎?”

<h1 class="pgc-h-arrow-right" data-track="25">參考</h1>

골치 아프다, 頭疼,讓人感到麻煩的那個頭疼,不是生病的腦袋疼

^문풍지 말기, 말다, 卷。~기,把動詞變成名詞。為什麼是~하기, 而不是其他的名詞形式,具體參考連結 https://zhuanlan.zhihu.com/p/90671686

^틈, 縫隙

^끈끈이, 黏膠

^기다랗다, 長長的,兩個人閑聊天的時候更常用。大大的是커다랗다

^채, 條狀

^소용돌이, 漩渦,轉盤

^돌돌돌, 相當于拟聲詞,一圈圈。隻寫돌돌也可以

^끼우다, 插

^~하는 듯, 好像...一樣

^這裡應該是베이었다, 原形是베이다, 被削

^목장갑, 線手套

^出血,피가 나다

^부피, 體積

^그나마, (盡管不夠好,但還是...)應該可以譯為“至少”

^因為舍不得,是以不能放棄,是以用~할 수 없다

^以前,國小生被稱為국민학생, 因為國小被稱為국민학교. 現在都改為초등학교和초등학생了

^엄마 옆에 붙어 앉아, 挨着媽媽坐

^這裡可以了解成숙제하다가, 놀다가, 쉬다가

^거들다, 幫忙,協助

^찢다, 撕

^찢으면서 놀았다

^더미, 堆

^~해 놓다, 表動作的完成

^~하기도 하다, 也

^뒹굴다, 打滾,遊手好閑

^싫은 소리, 讨厭的話,就是抱怨

^就是애들 있는 데에서, 因為데和에的輔音相同,說話的時候經常被一帶而過

^~해야겠다, 簡單了解就是“得要做某件事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