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선생님 컨디션이[1] 유난히[2] 좋지 않은 날이었다. 주변이 칠판을 깨끗이 지워 놓지 않았다는 이유[3]로 반 전체가 단체 기합을 받[4]았고, 갑자기 손톱 검사를 해서 김지영 씨는 서랍[5] 안에 손을 숨기고 급하게 가위로 손톱을 잘라 내[6]야 했다. 늘 마지막까지 남아 밥을 먹던 아이들 몇 명은 그날도 눈치를 보[7]며 밥을 삼키고 있었고, 선생님은 밥풀[8]과 멸치[9]가 아이들 얼굴에 튀어 오를[10] 정도로 식판을 두드리[11]며 화를 냈다. 몇몇 아이들이 입에 밥을 가득 문 채[12]로 울음을 터뜨리[13]고 말았다[14]. 졸지에[15] 눈칫밥에 눈물밥[16]을 먹은 아이들은 누가 부른 것도 아닌[17]데 청소 시간에 자연스럽게 교실 뒤에 모였[18]다. 눈짓, 손짓[19], 짧은 단어들을 주고받[20]으며 약속을 정했다. 종례[21] 다 끝나고, 영진시장[22], 할머니 떡볶이집.
某天,老師身體不适,心情也很差,偏偏值日生又沒把黑闆擦幹淨,于是全班同學被叫起來罰站,還突然抽查指甲。金智英急忙将兩手伸進書桌抽屜裡,很快用剪刀将指甲随意修整了一番。吃飯總是最慢的幾名同學那天也吃得膽戰心驚,老師憤怒地用湯匙敲打着同學的餐盤,盤裡的飯粒和小魚幹都快彈到學生臉上了。幾名同學最終再也忍不住,嘴裡含着滿滿的食物放聲大哭。那幾個吃了一肚子委屈和眼淚的學生,在打掃教室時不約而同地聚集在教室後方,用簡短的詞語、眼神、手勢交流,決定在行完下課禮以後,到榮進市場裡一間老奶奶開的辣炒年糕店集合。
아이들은 모이[23]자마자[24] 불만[25]을 쏟아냈다[26].
“우리한테 화풀이[27]한 거야. 아침부터 계속 트집 잡[28]아서 혼냈[29]잖아[30].”
“맞아”
"자꾸 옆에서 먹으라고[31] 먹으라고 재촉[32]하니까 더 안 먹혀.[33]”
“일부러[34] 안 먹는 것도 아니고, 장난을 치[35]는 것도 아니고, 원래 먹는 게 느린데 어쩌라고[36]?"
大夥兒一湊在一起便開始抱怨。
“他擺明了就是拿我們當出氣筒,從早到晚都在挑我們的毛病,找我們麻煩。”
“沒錯。”
“一直在旁邊叫我們趕快吞,反而更吞不下去。”
“我們又不是故意慢慢吃或不認真吃,是本來就吃得慢,到底要我們怎樣?”
^身體不适,狀态不好都可以說컨디션이 안 좋다
^유한히, (言行或狀态)格外
^~한다는 이유, ~한다表示引用,這句話是(老師說)黑闆沒擦幹淨的原因...
^기합을 받다, 受到體罰
^서랍, 抽屜
^자르다是剪,切這個動作,잘라내다是減掉,切掉這個結果
^눈치 보다, 看臉色,察言觀色
^밥풀, 飯粒
^멸치, 風幹小鹹魚,通常拌好之後用來當做小涼菜吃
^튀어 오르다, 跳起來
^식판을 두드리다, 敲餐盤
^밥을 가득 문 채, 嘴裡塞滿了飯的狀态
^울음을 터뜨리다, 淚水奪眶而出
^~하고 말았다, 表示動作的完成。말다本意是除此之外,~하고 말다可以了解為除了前邊那個~하다的動作之外,沒有其他的動作了,是以表示動作完成。
^졸지에, 猛然間
^눈칫밥에 눈물밥, 因為看了老師的臉色是以是눈칫밥, 哭了是以是눈물밥, 合起來是눈칫밥的基礎上加上눈물밥
^누가 부른 것도 아니다, 也沒有誰特意召喚,是以是不約而同
^모이다, 聚集。人或者動物自發地聚集在一起用모이다, 人積攢什麼東西叫做모으다。例如攢錢,돈을 모으다
^눈짓, 遞眼色; 손짓, 打手勢
^有來有往,給了又接回來叫做주고받다
^放學之前,班主任簡單總結一天的事項,這個活動被稱為종례
^영진시장, 查了一下,釜山現在應該沒有영진시장這個地方了
^모이다, 人主動聚在一起是모이다, 被動的積攢是모으다, 例如攢錢,돈을 모으다
^~하자마자, 一...就...
^불만, 不滿
^쏟아내다, 倒出
^화풀이, 名詞,撒氣,出氣。화,憤怒。풀다, 解開。화를 풀다, 消氣,出氣。화풀이是名詞,可以了解為出氣筒。화풀이하다, 拿~當做出氣筒
^트집 잡다, 找茬
^主語訓他人的時候是혼내다, 被訓的時候是혼나다
^~하잖아, 不是(怎麼怎麼樣)嗎?表反問
^먹으라고是指令句的引用。原句應該是老師說:”빨리 먹어“, 學生引用的時候就會說:선생님이 (나에게) 빨리 먹으라고 하셨다.
^재촉, 督促
^먹다是主語發出的動作”吃“; 먹이다是”喂“;먹히다是”被吃“。 這裡孩子們表達的是在老師的催促下主動吃了,但是飯實在是咽不下去,是以用'먹히다'.
^일부러, 故意
^장난 치다, 淘氣,經常用到
^어쩌라고是方言, 釜山所在的慶尚道,其他地方例如江原道都這麼說。好幾個地方都這麼說話